크론병이란? 소화기 전반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질환 정리

크론병은 어떤 병인가요?

크론병(Crohn’s Disease)은 입부터 항문까지 소화기계 전반에 염증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대장에 국한되는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크론병은 소장·대장뿐 아니라 식도, 위, 항문까지 어느 부위든 침범할 수 있으며, 병변이 장벽 깊숙한 층까지 퍼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10대 후반~30대 사이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청소년 및 어린이 환자도 증가 추세입니다.

크론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면역계 이상: 장내 세균에 대한 과민반응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률 증가
  • 환경적 요인: 고지방 식단, 흡연, 장내 미생물 불균형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분류되며, 일단 발병하면 완치는 어렵고 재발과 호전을 반복하는 경과를 보입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크론병의 증상은 병변 위치와 범위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복통, 특히 배꼽 주변 또는 우하복부 통증
  • 만성적인 설사 또는 점액·혈변
  • 체중 감소, 피로, 식욕 저하
  • 항문 주위 통증, 농양 또는 누공
  • 성장 지연 (소아·청소년 환자)

또한 관절염, 안구염, 피부병변 같은 장외 증상(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크론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복통이나 설사 같은 증상만으로는 확진이 어려워, 다음과 같은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 내시경 검사: 대장내시경, 캡슐내시경 등을 통해 병변 확인
  • 조직검사: 염증세포 침윤, 육아종 등 병리적 소견 확인
  • 영상검사: CT, MRI 장조영술 등
  • 혈액검사: 염증수치(CRP, ESR), 빈혈 등

특히 궤양성 대장염과의 감별이 중요하며, 전문의의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합니다.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크론병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지만, 조기 치료와 장기적 관리를 통해 증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항염증제: 메살라진 계열 약물
  • 스테로이드: 급성 악화 시 사용
  • 면역조절제: 아자치오프린, 메토트렉세이트
  • 생물학적 제제: 항-TNF제(Infliximab, Adalimumab 등)
  • 수술: 협착, 폐색, 누공 등 합병증 발생 시

모든 치료는 증상 조절뿐 아니라 장 손상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생활관리도 치료만큼 중요합니다

크론병 환자는 스트레스, 흡연, 감염, 특정 음식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생활습관의 균형 유지가 필요합니다. 식사는 자극적이지 않고 소화 잘 되는 식단 위주로 구성하며, 소아환자는 성장 발달을 고려한 영양관리도 필수입니다.

크론병, 포기하지 말고 함께 관리하세요

크론병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의학의 발전으로 다양한 치료제와 관리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꾸준한 병원 내원과 치료 유지, 그리고 환자 스스로의 질환 이해와 생활관리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