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경 증상: 원인, 유형, 진단 및 치료 가이드

사경(Torticollis)의 정의와 특징

사경(斜頸, Torticollis)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목 근육의 비대칭적 긴장이나 수축이 발생하면서,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말합니다. 주요 원인은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의 이상으로 인한 것으로,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는 선천성 사경과 성인에서 발생하는 후천성 사경으로 구분됩니다.

흔히 신생아기나 유아기 초기에 진단되며, 조기 치료 시 예후가 양호하지만 치료 시기를 놓치면 안면 비대칭, 척추측만증, 시야 제한과 같은 이차적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소아 사경 진단, 유아 목 기울어짐, 사경 물리치료, 흉쇄유돌근 평가, 아기 자세교정

주요 증상 및 임상 양상

사경의 핵심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머리 기울어짐: 일반적으로 병변 쪽으로 기울고, 반대 방향으로 얼굴이 회전됨
  • 목 회전 제한: 병변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됨
  • 흉쇄유돌근 비대 또는 단단한 종괴 촉지: 생후 2~4주 사이 흔히 관찰
  • 안면 비대칭: 치료 지연 시 장기적으로 발생 가능
  • 운동 발달 지연: 머리 가누기, 자세 교정 능력 지연

성인의 경우 경부 근육의 비정상적 수축에 따른 근긴장이상(dystonia)으로 나타나며, 통증이나 불편감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사경의 분류와 원인

사경은 발생 시기와 원인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선천성 근육성 사경: 출생 시 또는 생후 수주 내 흉쇄유돌근 손상, 섬유화로 인해 발생
  • 후천성 사경: 외상, 종양, 감염, 경추 이상, 시각 및 청각 이상 등이 원인
  • 경직성(근긴장이상성) 사경: 중추신경계 이상으로 발생하는 지속적 또는 간헐적 경부 근육 수축
  • 일과성 사경: 바이러스 감염 또는 중이염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나타남

특히 선천성 근육성 사경은 전체 사경 환자의 80~90%를 차지하며, 출산 시 자궁 내 위치 이상 또는 분만 외상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

진단은 주로 임상 소견을 바탕으로 하며, 필요 시 영상 검사가 병행됩니다.

  • 경부 초음파: 흉쇄유돌근 내 종괴 여부 확인 (선천성 사경에서 필수)
  • 경추 방사선 검사(X-ray): 경추 기형, 아틀라스 이상 등 평가
  • MRI 또는 CT: 중추신경계 병변, 종양 감별 (후천성 사경 의심 시)
  • 안과 및 이비인후과 평가: 시야 제한, 청각 이상에 의한 사경 배제 목적

사경의 치료 방법: 비수술적 치료 우선

비수술적 치료는 대부분의 선천성 근육성 사경에 효과적이며, 치료 시기가 빠를수록 예후가 좋습니다.

  • 수동 스트레칭 운동: 생후 6개월 이전부터 시작 시 90% 이상 교정 가능
  • 물리치료: 도수치료, 자세 유도 훈련, 고개 방향 훈련 등
  • 자세 교정 환경 조성: 장난감, 베개 등을 이용한 방향 전환 유도
  • 보톡스 주사: 근긴장이상성 사경에서 일시적 증상 완화에 사용

수술적 치료는 만 1세 이후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 고려되며, 흉쇄유돌근의 연장술이나 절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후 물리치료와 자세 교정이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합니다.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사경은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지만, 치료 후에도 재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세 비대칭, 척추측만증, 운동 발달 지연 등을 함께 관찰해야 하며, 부모와 의료진 간의 지속적인 협력이 중요합니다.

사경은 단순한 외형의 문제를 넘어서 기능적 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조기 진단, 정확한 원인 감별, 맞춤형 치료 계획이 핵심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